https://namu.wiki/w/%EB%A7%8C%ED%94%84%EB%A0%88%ED%8A%B8%20%ED%8F%B0%20%EB%A6%AC%ED%9E%88%ED%8A%B8%ED%98%B8%ED%8E%9C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347689&memberNo=27562621

 

 

 

 

만프레드 폰 리히트호펜

ManFred von Richthofen

1892.05.02~1918.04.18

 

 

 

1차대전의 붉은 남작.

에리히 하르트만의 대선배(?)

 

그의 3배 빠른 포커 삼엽기...

만프레트가 세운 80대라는 기록은

당시 독일이 공중전에서 밀릴 때 세운 기록이다.

 

1차대전의 전투기 조종사들은 귀족출신들이 많았다.

그 또한 남작가의 아들이었다.

 

공중전의 양상도 중세의 기사도와 비슷했다.

처음 조우 했을때 공중에서 인사를 하고 싸움을 시작하기도 했고,

1:1 싸움이 많았으며, 결투장을 보내어 1:1싸움을 하기도했다.

심지어는 격추한 적군을 애도하는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독일 전체로 퍼진 그의 인기는 우표로도 제작되었다.

젊은 귀족, 잘생긴 외모, 하늘의 기사.

이야기는 넘쳐났다.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았고

그의 엽서에 사인을 받으려 하는 사람이 줄을 섰다.

 

그냥 유명한 에이스 수준이 아니었다.

전국적인 아이돌이었다. 금발의 미남이라...

 

 

1925년 그의 유해가 베를린으로 돌아왔을 때

전국에 조기가 계양되었고

장례 행렬에는 베를린이 생긴이래 가장 긴 줄이 만들어졌다.

그가 베를린 군인묘지에 묻힐 때 첫 삽을 푼 것은 당시 독일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

 

 

영화로도 제작되었나보다

 

대공 기관총탄이 아래에서 위로 관통해 총에 피격되어

의식을 잃고 추락하다가 가까스로 깨어나 착륙했으나

몇 분 뒤, 과다출혈로 사망했다.

 

그의 비행기는 기념품 사냥꾼들이 부품을 떼어갔다.

 

 

자신을 비롯해 부하들까지 온갖 원색으로 칠한 항공기를 타고다녀서,

그의 부대는 날아다니는 서커스단(Flying Circus)으로 불렸다.

이는 리히트호펜의 부대가 일종의 전술 예비대로서 열차를 사용해

위급한 전선마다 급파되는 임무를 맡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형형 색색의 복엽기들이 열차 화물칸에 줄지어 늘어선 모습이

마치 순회공연을 다니는 서커스단 같아서 붙은 이름.

하지만 직접 여러 부대를 돌아다니며 선발한 에이스로 가득했기에 전과는 무시무시했다

 

 

활약상을 보면 대령은 달아야했지만

아버지가 예비역 소령을 전역하여 그걸 넘어설 수 없어

대위로 계속 남아있었다.

 

 

격추한 연합군 비행기의 잔해들로 꾸며진 숙소.

독일군 조종사들은 귀족출신이 많았기에 당연하게 생각했을 지도.

잔인한 면이 있다.

그가 추락하고 사망한 뒤 기념품 수집가들이 

의 비행기를 산산조각낸걸보면 뿌린대로 거둔걸까.

 

비록 영웅이지만 뼛속까지 군국주의자였다.

 

격추당해 포로가 된 영국 조종사가그를 보고 여자가 아니여서 매우 놀란 일화가 있다고 한다.

영국군 전투기 조종사들 사이에선 전투기에 붉은색 페인트를 칠하고 날아다니는걸로 보아하니

붉은알바트로스전투기의 조종사는 잔다르크같은 여성조종사일 것이라는 소문 때문이였다고..

 

 

붉은 색을 보면 강해지고 빨라진다고 한다.

실제 권투선수 경기 분석결과 붉은 유니폼이 55%의 승률.

그러니까 글자도 빨갛게(?)

http://v.media.daum.net/v/20110605172314526

 

 

 

세배 빠른 모 사나이의 원형.

붉은 혜성, 샤아 아즈나블

아-. 당신은 대체.

 

 

 

붉은 돼지의 모티브로도 쓰였다.

 

 

 

붉은 남작 코르키(응?)

 

롤하러가야지

'글 소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작가 필독! '아름다운' 한글 유의어, 반의어  (0) 2019.06.29
특수부대에 관하여  (0) 2019.06.28
인종별 생김새  (0) 2019.06.28

같은 내용을 쓰더라도 그 사람이 사용하는 어휘와 어감, 어투에 따라 완전히 다른 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그 많은 단어들을 전부 알고 있을 수는 없을텐데요.

여기 그 시작을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해줄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바로 '낱말'이라는 홈페이지인데요.

밑의 사진처럼 '아름답다'라는 단어를 입력하면 1차 유의어와 1차유의어의 2차유의어까지 검색됩니다.

부분적으로 확대하고 클릭해서 뜻을 알아볼 수 도 있으니 정말 좋은 홈페이지입니다.

 

그럼 유의어와 반댓말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특정 상황에서, 적은 범위에서 쓰이는 말들이 많지만 놀라지마세요.

아름답다는 말에 유의 반의어가 이렇게 많을 줄은 상상도 못했네요.

 

아름답다.  (괄호)안 숫자는 한자어가 다름.-------------------------------------

 

가려하다, 갸륵하다, 고매하다, 고방하다, 고아하다, 곱다, 기려하다, 깨끗하다, 난연하다, 매력적이다, 묘려하다, 미려하다, 빼어나다, 새뜻하다, 선연하다(3), 선호하다, 섬연하다, 수려하다, 아결하다, 아나하다, 아리땁다, 야염하다, 어여쁘다, 여미하다, 예쁘다, 요염하다, 요요연연하다, 요요작작하다, 요요하다(3), 우아하다, 육리하다, 좋다, 찬란하다, 찬연하다, 찬찬하다, 청아하다, 청염하다, 청일하다, 훌륭하다, 못생기다, 밉다, 보기싫다, 추하다

 

-------------------------------------------------------------------------------------

 

1차 유의어 총 47개

2차 유의어...는 '깨끗하다'의 경우

간정하다, 강직하다, 맑다, 순결하다, 곱다, 깔끔하다, 청절하다, 청정무구하다, 청초하다 등등등..

 

 

사실 글로만 봐서는 잘 감이 안오는데 그림으로보면 감이 올 겁니다.

 

한국어의 표현방법은 미쳤습니다.

 

 

 

 

아름답다는 단어 하나에 연결된 단어가 이만큼이랍니다...

언어예술의 끝은 도대체 어딜까요.

 

위 프로그램은 워드넷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wordnet.co.kr/

 

낱말-유의어사전

 

www.wordnet.co.kr

'글 소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붉은 남작' 만프레트 폰 리히트호펜  (0) 2019.06.29
특수부대에 관하여  (0) 2019.06.28
인종별 생김새  (0) 2019.06.28

특수부대란.

특수전/비정규전이라는 '임무'를 가진 부대.

 

주요임무

    • 전선 후방 300km 지점에 침투하여 유선 통신망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을 경우 감청장비를 설치하고 돌아와라.
    • 적 군단장이 ~에 머물고 있으니, 1주일 내로 제거해라.
    • 적 탄약고에 잠입해서 격발시 총 안에서 폭발하는 가짜 탄약을 섞어라.

(베트남전 당시 실제) 

 

    • 적군으로 위장해 적 후방기지에 잠입, 정찰하라.
    • 우리국가의 인사를 구하라.
    • 기타 모든 대테러활동

 

특수부대의 특징

    • 일반적인 보병전에는 잘 출동하지 않는다.
    • 무선 침묵을 지키기 위해 임의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경우도 많다.
    • 국가마다 전술개념이나 작전에 따라 특수부대의 성격도 다르다.
    • 싸움만 할줄아는 사람들이 아니다. 여러 분야에서 프로 이상의 실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래서 실작전 투입 시 위관급이 아니라 영관급 장교가 투입되는 경우도 많다.
    • 부대마다 다르지만 키의 기준은 대개 180cm. 너무 크거나 작으면(너무 눈에 띄면) 곤란하다.
    • 민간인과 접촉하면 보통 포로로 잡지만 특수부대는 사살한다. 기동성도 떨어지고 위치도 노출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경우 임무가 실패한다.(김신조 청와대 침투 미수사건 - 작전 중 눈 덮인 산에서 나무꾼을 만나지만 땅이 얼어 파기 귀찮아 죽이지 않고 살려보낸다. 걸프전 당시 SAS도 베두인족을 살려보냈다가 이라크 군의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음.)
    • 블랙 옵스 작전. 국제법에 저촉될 가능성이 큰 작전이기 때문에 잡히면 정부가 이들을 부인한다. 작전이 끝나면 해산하거나 전담부대를 만들고 기밀로 묶는다. 

 

 

특수부대목록

 

  • KSK(Kommando Spezialkräfte약어로 카에스카;독일)
    • 영국SAS&SBS, 미국 델타포스%데브그루처럼 테러 진압, 암살, 공작, 후방 교란, 정보수집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독일 연방군 소속의 특수부대. 본래 73년 창설된 GSG-9이라는 대테러부대가 있었으나 경찰조직 산하인 국경수비대 소속인지라 해외 파견에 제약이 많아 96년 육군 내에서 창설했다.
    • 독일군 내에서 장비가 가장 좋은 부대. 신원은 비노출이나 존재자체를 부정하진 않는다. 코소보사태에 파견된 적 있다.
    • 선발과 훈련
      • 장교와 부사관만이 지원 가능했다. 그러나 05년부터 민간인도 18개월 간의 훈련 및 시험을 거쳐야만 KSK시험에 지원할 수 있다.
      • 3주간의 장기간 육체 및 정신적 시험과 3달간의 생존력 시험. 2주간의 생존력테스트+90시간의 행군
      • 이 훈련은 도시, 사막,정글,알프스,북극 등 곳곳에서 이루어 진다. 이러한 훈련은 KSK를 전천후 작전부대로 만든다.

게슈타포

 

 

 

  • GSG-9(Grenzschutzgruppe-9약어로 게-에스-게 노인; 제 9 국경수비대; 독일)
    • 독일 연방경찰(Bundespolizei)에 소속된 특수부대.
    • 레인보우 식스 시즈에서 출연함. 대원 전원이 사복에 방탄복. 경찰 소속 특수 부대라면 이런 경우가 많다.

 

 

  • 스페츠나츠(Спецназ; 특수목적군; 러시아)
    • 러시아 특수부대 전반을 가리키는 말. 풀네임은..
    • KGB,,,
    • 가상매체에서 취급은 대부분 러시아군소속의 강한 잡몹수준. 주인공들이 미군,EU이기 때문..

 

  • BOPE(Batalhão de Operações Policiais Especiais 보피;경찰특수작전대대; 브라질)
    • 갱들의 시가전 같은 저강도 분쟁을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전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시가지인 리우데자네이루의 빈민가를 정찰하는 특공대로 유명하다. 일상인 시가전과 그로 다져진 실전경험. 훈련량만 보면 세계에서 넘사벽급인 경찰특수부대.
    • 현재 대원은 400명 규모. 브라질으 특성상 주임무는 카르텔과 갱단 때려잡기. 09년 10월엔 갱 두목을 잡으려다가 대낮에 경찰 헬기가 격추당하고 42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강조하지만 전쟁터가 아니다...

 

  • 코만도(Commando, 보어어로 소부대를 의미하는 Komando에서 유래; 영국)
    • WW2 영국 육군이 창설한 세계 최초의 현대식 특수부대. 거의 모든 특수부대의 원조
    • 덩케르크 철수 이후 독일에 반격하고 싶었지만 보유 장비를 대부분 잃고 고심하던 중 보어전쟁 당시 영국군을 괴롭히던 보어군과 민간 자원병의 소규모 습격대에서 힌트를 얻어 기습 침투 및 타격을 가하고 빠르게 퇴각하는 부대를 구상.
    • WW2당시 히틀러는 이들의 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노르웨이에 불필요할 정도의 대규모 주둔군을 배치시키고 무조건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리나, 오히려 전선의 독일군 장교들은 소규모로 침투하는 이들의 전문성과 용맹함을 높이 평가하며 전사자에게는 후한 장례를 치러주고, 포로도 코만도라는 것을 숨기고 후방 포로수용소로 보내는 등 호의를 배풀었다.

 

 

    (각주참고)                        

  • SAS(Special Air Service 공수특전단; 영국)
    • 현대 특수부대의 아버지. 41년 롬멜에게 박살나던 영국군의 데이비드 스털링 소령이 낙하산 투입부대를 생각해낸다. 
    • 항공 정찰을 피하고 피로를 막기 위해 뜨거운 낮에는 위장한 채 잠을 자고, 야간을 이용해 이동하는 식으로 사막을 멀리 돌아 깊숙이 침투했다. 실제로 공중전에서 잃는 전투기보다 SAS에 의해 파괴되는 전투기가 더 많을 지경이 되었다.
    • 군기가 개판이다. 물론 전문가들이라 어느정도 선은 지키나 다른 군인들이 보기에는 거의 똘끼에 가깝다. 아눈 SAS 대원들간 계급이 없는 데에서도 기반한다. SAS대원이 되는 순간 계급을 반납하고 SAS Trooper(대원)으로만 취급한다. 이는 무작정 군기를 들여 쉬는 중에도 긴장감을 유지시키는 것보다는 체계적인 훈련과 그에 비례한 정신적 보상이 군사의 숙련도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대표적 예시다.영연방 자매품으로 NZSAS(뉴질랜드SAS), ASAS(호주SAS)가 있다.
    • 14년 ISIS에 대한 인간사냥을 시작했다. 치누크로 ATV팀을 투입하고 AWM, 바렛 M82저격총과 GPMG등을 사용해 야간에 목표를 습격하고 고속으로 도망쳐서 빠져나오는 WW2 당시에 쓰인 전통 방식의 개량판 전술이다.                       ISIS는 전폭기를 보면 도주하거나 은신할 수 있다. 그러나 SAS는 그들이 보거나 들을 수 없다. SAS는 공포감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동료들이 모래 위에 죽어 나자빠지는 광경을 지켜보며 공포감을 불어넣고 그들의 사기를 꺾어버린다.

 

(SAS의 전술)

 

 

 

 

  • 제777부대(الوحدة 777 قتال; 이집트)
    • 78년 창설, 델타포스, 데브그루, GIGN과는 다른 의미로 화려한 전과를 가져 나름대로 유명하다.
    • 85년, 테러리스트 3인에 하이재킹 당했다. 사복경찰에게 1명이 사살되고 총격으로 리비아 대신 급히 몰타로 방향을 돌렸다. 협상을 시작한 몰타군이 급유와 철수를 거부하자 본보기로 이스라엘인 1명을 처형하고 승객 11명과 부상당한 승무원 2명을 석방했다. 뒤이어 4명의 승객에게 총을 쏴 2명을 더 죽였다.
    • 이집트는 777부대를 파견했다. 공항 측에서 활주로의 라이트를 모조리 꺼버려 수상히 여긴 테러범이 기체 하부의 부대원들을 발견하였다. 곧바로 승객들에게 수류탄 4개를 던지고 무차별 총격을 개시했다. 조급해진 777대원들은 화물칸을 폭파하고 안으로 진입했으나 화물에 불이 옮겨붙었다. 뛰쳐나오는 인질들에게 몰타군의 오인사격으로 88명 인질 중 56명이 사망하고, 승무원 2명, 테러리스트 1명도 사망했다. 심지어 테러리스트 리더는 혼란한 와중에 승객으로 위장해 병원에 실려갔다. 후에 이집트 특수부대의 추격 끝에 잡힌다. 이날 몰타군의 오인사격에 의한 승객 사망보다 화재로인한 사망이 더 많았다. 

 

 

 

  • 설표돌격대(雪豹突擊隊; 중국)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소속으로 중국 내에서는 중국의 델타포스 및 데브그루DEVGRU 라고 자랑하고 있다.
    • 02년 설랑돌격대로 창설 되었으나 08년 베이징 올림픽 때 존재가 일반에 공개되었다.
    • EOD(폭발물 처리반)중대, 대테러중대, 저격중대 등 3개 중대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 JTF-2(Joint Task Force-2; 캐나다)
    • 93년 창설. 미국의 USSOCOM(특수작전사령부)와 비슷한 CANSOFCOM)의 지휘를 받는다. 캐나다 정부에 의해 매우 비밀스럽게 다뤄지고 있다. 처음엔 존재조차 부정할 정도였다.
    • 100여명의 기간 요원을 PPCLI나 캐나다 공수연대에서 차출하여 창설하였다. 17년 IS대원을 3,450m에서 살하여 8년만에 저격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맥밀란 TAC-50저격총이 사용되었다. 총알이 목표에 맞기까지 10초를 비행했다고 한다. 이 신기록은 무려 1km나 거리로 각주는 저격기록 탑 3이다.
    • 캐나다 모든 군 분야에서 성별을 불문하고 일단은 지원이 가능하다. 특수전 훈련기간은 7개월 가량. 01년 9.11사태 이후 약 600명 수준으로 충원 되었으며, 예산이 대폭 증액되고 있다.

 

 

 

 

(왼쪽이 현재, 오른쪽이 과거. GIGN의 상징과도 같던 노란 방탄막이 투명해졌다.)

  • GIGN(Groupe d'Intervention de la Gendarmerie Nationale제이제엔, 지아이지엔; 프랑스)
    • 프랑스 국가 헌병대 소속 개입부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사망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은 대테러부대. 물론 해외 여러가지 특수공작도 수행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대테러부대로 자타가 공인하고 있다.부대원은 5년 이상 근무한 현역 군인 중에서 지원제로 모집한다. 10개월의 훈련기간. 훈련중 방탄목을 받고 44구경 권총으로 발사된 총알을 맞는다. (지급받은 방탄복에 대한 신뢰감과 배짱. 자신의 가슴에 대로 총을 쏘는 동료에 대한 신뢰를 확인한다는 의미의 훈련.) 세느강 지나는 유람선 밑으로 수영하기, 실제 프로 권투선수와 3라운드 스파링 등이 포함된다.짙은 청색계통의 전투복과 안면 방탄유리가 장착된 헬멧과 방탄방패, LFP586리볼버 등이 특징. 어깨팔뚝보호대, 낭심보호대 등으로 중무장하여 작전 중 기동성 보다는 각 대원의 방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방탄방패는 27발이상의 AK-47총탄도 막아낼 정도로 방호력이 높다.
    •  2정의 권총으로 무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실전에서 권총의 총탄이 떨어지면 탄창을 꺼내 장전하는 시간보다 두번째 권총을 꺼내들어 대응사격하는게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 

 

 

 

 

 

 

 

 

 

 

 

 

 

 

  • 제707특수임무대대(대한민국)
    •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 소속 대테러부대이다. 언론상, 편의상으로 대테러부대지만(평시) 전시에는 다른 임무를 수행한다.
    • 개개인의 신상은 2급 비밀에 해당하는 보안사항. 델타 포스 대원들과 연합훈련한다. 그 외 특이사항 없음. 코너샷을 도입한 것?

 

 

 

  • US SOCOM(US Special Operations Command; 미국 특수작전사령부)
    • 육해공해병 산하 특수부대들의 사령부. 본부는 플로리다주 탬파의 맥딜 공군기지. 티어 시스템이 있다. 전투력 순이 아닌 예산 지출순...
    • 티어 1 : 델타포스, 데브그루 등
    • 티어 2: 그린베레, 레인저연대, 네이비 씰 등
    • 티어 3: 기타

 

외계인도 때려잡는 FAST 헬멧                                                                

  • 델타포스(미국)
    • 그린베라나 네이비씰이 하는 것보다 더 위험하거나 비밀스러운 민감한 임무들에 투입된다. 적국에 대한 군사공작, 흑색선전, 민간인으로 위장해 군 첩보 수행, 민간인이 알아서 안되는 정보를 막거나 이에 대응하는 임무(블랙옵스)를 수행한다.
    • 정식 명칭은 ACE(Army Compartmented Elements, 육군구획제대)로 바뀌었다. 4개 스쿼드론(분대)을 합쳐 총 250여명의 오퍼레이터(작전요원)으로 구성되며 특수부대나 기타 정예부대의 지원자들에서 다시 걸러내는 작업을 거쳐 하는지라 미군 특수부대들 중에서도 손꼽히는 정예부대. 동급은 후술할 데브그루.
    • 대원들의 신분을 철저하게 감추기 위해 군의 높으신 분들이 보면 저 양아치 같은 놈들은 뭐야 ?라고 할만한 짓은 다 하고 다닌다. 머리를 기르거나 염색하는 것은 기본. 필요하면 민간인으로 위장하려는 작전상의 이유. 수염이 덥수룩한 경우도 있다. 미군은 콧수염외에는 얼굴의 어떤 모발도 기를 수 없게 되어있다. 심지어는 실제 작전을 나갈 때 말고는 근무시간에 대놓고 사복을 입고 다닌다. 드라마 The Unit을 참고.

 

 

 

 

 

 

 

 

 

이분들 헬멧만보면 이미 외계인..

  • DEVGRU(DEVelopment GRoUp특수전개발단; 미국)
    • 미합중국 해군소속 대테러 특수부대. 풀네임은 U.S. Naval Special Warfare Development Group) 델타포스가 그린베레 같은 육군의 여러 정예부대 출신으로 구성되는 것처럼 데브그루도 기본적으로 SEAL에서 선발되나 EOD, 군견병 등 특수보직도 많고, 첩보임무에는 여성 요원들까지 선발되어 활동한다고 한다.
    • 부대 구성은 9개 스쿼드론으로 편성되어 각 스쿼드론(대대~중대,중령급 지휘)은 3개의 트룹(지역대 ~ 중대, 소령급 지휘)으로 구성되며, 트룹 예하에는 X개 이상의 팀(대위급이 지휘)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골드 스쿼드론(데브그루내에서도 경험이 많은 대원.)
    • 실버 스쿼드론=블루스쿼드론=레드스쿼드런
    • 블랙 스쿼드런 - 정찰 및 감시.
    • 그레이 스쿼드런 - 특수전 주정 및 차량 운용 작전 담당.
    • 그린 스쿼드런 - 훈련 및 교육 담당. 9개월간의 고급 전술훈련
    • 기타 스쿼드런 - EOD스쿼드런, 기술지원 스쿼드런.

 

현재 레인저부대의 모래색 베레모

  • 레인저
    • 75th Ranger Regiment제75레인져연대. 아래는 레인저의 구호. WW2 오마하 해변 상륙 당시 노먼 코타(Norman Cota) 장군이 "죽더라도 해변가가 아니라 절벽까지 올라가서 죽얼. 난 레인저가 선봉에 설 것을 기대한다."(I expect Rangers to lead the way)라는 말 한 것이 부대구호가 됨. WW2 종전 후 해체 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재창설 됐다.

RANGER LEAD THE WAY.

레인저가 이끈다.

 

  • 그린베레
    • 미 육군 소속 특수부대. 
    • 레인저나 네이비 씰 같은 특수부대가 직접 전투임무에 가까운 작전을 하는 데 반해, 그린베레는 적지 침투 이후 게릴라전, 게릴라 양성, 민사심리전, 동맹군 부대의 훈련과 적지 특수정찰 등 각종 특수임무를 수행하는데 더 맞춰져 있다. 이를 위해 그린베레는 추가적인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며 해당 지역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원이 반드시 동행한다.

데 오프레소 리베르(de oppresso liver) : 억압으로부터의 자유

- 그린베레의 공식 구호

 

모조리 죽여라. 신께서 가려낼 것이다.

(위 사진)

 

만약 네가 돈을 위해 사람을 죽인다면 넌 용병이다.

만약 네가 재미를 위해 사람을 죽인다면 넌 새디스트다.

만약 둘 다라면 너는 그린베레다.

 

  • 이모탈(Immortal, 고대 페르시아)
    • 불사, 불멸 또는 그것을 획득한 자(불사신, 불멸자)를 뜻하는 영단어. invincible이 어떠한 데미지도 입지 않는 무적이라면, 이쪽은 좀비처럼 몸이 망가져도 목숨이 계속 붙어있는 무적.
    • 고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황실 호위병이자 정예 상비군. 메디아인, 엘람인, 페르시아인만을 부대원으로 받아들였으며 정원은 1만명. 1명이 죽으면 예비역을 바로 채웠다.
    •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에 의해 소개되었으며 그들을 불사신이라는 뜻의 아타나토이'(Αθάνατοι)라고 표현한데서 유래했다. 이들을 고대 페르시아어로 뭐라고 불렀는지 알려줄만한 사료가 전혀 남아있지 않아 그대로 쓰고 있다. 헤로도토스가 고대 페르시아어로 전우를 의미하는 아누쉬야(Anûšiya)를 불사자를 의미하는 아나우샤(Anauša)로 잘못 알아들은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음. 아르쉬티바라(Arštibara, 창을 든 자)가 아니냐는 의견도 있음.

 

!주의!

* 가상의 특수부대 *

 

  • ODST(Orbital Drop Shock Trooper궤도강하타격대, 헤일로)
    • 제 105 ODST 사단의 별명 HellJumper헬 점퍼. 일반적인 특수부대와 운용이 다르다. 강하포드를 통해 사단급으로 대량투입된다. 후방으로의 선제투입과 거점유지 및 전선확대의 임무를 맡는다.
    • 일반 해병과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부대원 전원이 V자 바이저 헬멧으로 얼굴을 가린다는 것이다. 

Jump feet first into hell!

발끝부터 지옥으로!

  • 스파르탄(헤일로)
    • 혹독한 훈련을 거쳐 개조 수술을 통한 뛰어난 신체 능력, 최첨단 무장으로 다져진 일당 백의 슈퍼 솔져들. '강화인간'의 대표주자들.75명을 UNSC가 납치하였다. 납치된 아이들은 클론으로 맞바꾸어 각 가정으로 보내 부모들을 속였으나 수명이 짧아 얼마 안가 숨졌다. 납치된 아이들은 성을 없앤 이름에 숫자를 합친 코드명을 달고 , 매우 혹독한 훈련을 받은 뒤 7년 후 개조 수술되었다.
    • 부작용이 높아 33명만 살아남았다. 스파르탄ii는 절대 죽지 않는다라는 환상을 장병들에게 심어지기 위하여 ONI 2과는 지령 930을 발령. 스타르탄II가 전투 중 전사 혹은 불구가 되어도 전사 목록에는 임무 중 전사(KIA)가 아닌 임무 중 실종(MIA) 혹은 임무 중 부상(WIA)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이는 원조 스파르탄의 라이벌, 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임모탈의 결원이 생기면 즉시 예비병을 투입해 1만명의 부대원을 항상 유지해 불사군단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나오게 했던 운용방침을 모티브로 따온 듯 하다.

 

  • 레이너 특공대(Raynor's Raiders, 스타크래프트)
    • 자치령이 발레리안 맹스크의 집권으로 레이너 특공대의 존재 의미가 옅어지나, 캠페인 영상중 "자치령이 문제가 아니야, 우린 늘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싸워왔다."라고 말한다. 제 1의 목표는 멩스크의 독재체제를 무너뜨리는 것이지만 제 0의 목표는 어디까지나 사람들을 구하는 것이 제일 중요했다. "멩스크가 잘못 없는 사람들을 무차별로 죽음에 몰아넣었기 때문"이었다. 심지어는 아예 종족부터 다른 프로토스 주민들까지 아이어를 탈출하는 것을 목숨 걸고 도와줬다.
  • 자치령 친위대(Elite Guard, 스타크래프트)
    • 아크튜러스 멩스크의 친위대로 자치령이 건국된 2,500년에 창설되었다. 아래는 부대 편성 목록.
    • 창공의 분노 편대 - 바이킹과 밴시로 편성된 공습부대.
    • 알파 편대 - 전투순양함과 공성 전차로 편성. 많은 해병을 대동한다. 
    • 코랄의 후예(정예 해병)
    •  
  • 고스트(Ghost톰 클랜시의 고스트 리콘 시리즈)
  • 공안 9과(公安9課,Section 9. 공각기동대)
    • 좌측 상단부터 원작, 극장판, SAC, SSS, ARISE, 실사영화도 있음. 메이저 미라 킬리언

 

 

  • 그림장 중대(Shadow Company, 콜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장군의 사병, 장비하나는 끝내주게 좋다.
    • 국가와 소속은 불명이나 성조기를 달고 미군의 장비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셰퍼드 장군이 차출하거나 PMC들을 돈주고 고용한 듯. 미군 장비와 성조기의 별이 앞으로 향하는 등의 미군 규정을 따르고 있다. 성조기의 별이 앞으로 향하는 것은, 기병대가 성조기를 들고 전진하면 다른 군인들이 옆에서 볼 때 뒤집힌 것처럼 보이는데 여기서 유래한 것. 무조건 별이 앞으로 향한다.-> 후퇴는 없다. -> 미군은 전진한다.
  • 오버워치와 블랙워치
    • 위키 참조. 별도의 글을 써야할 만큼 많은 내용과 줄거리.
       
  • 트레드스톤(Treadstone 영화 제이슨 본 시리즈)
    • CIA가 대상자들을 훈련시켜서 비밀리에 창설한 암살단체. 서류상 존재하지 않는 요원들을 이용해 암살대상자들을 사고사 등의 이유로 처리해 암살 사실 자체를 은폐하는 것이 목적.

 

 

 

관련항목

PMC(민간군사기업)

https://namu.wiki/w/%EB%AF%BC%EA%B0%84%EA%B5%B0%EC%82%AC%EA%B8%B0%EC%97%85

 

기타 군사관련 참고사항

코너샷이라는 물건은 굉장히 비싸 쉽게 접할 수 없고, 화력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고민하던 한 미군이,

소총의 도트사이트에 거울을 달았다! 

정확도도 상당하고 소총이니 화력도 확실하다. 그리고 비용은 없다고 봐도 된다! 천재다
다만 거울의 빛 반사로 인한 위치 노출 위험은 조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준을 할 때 좌우가 반전되어 난이도가 높아지며 시야가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거울 대신 펜타프리즘을 쓰면 어떨까 상기한 도트사이트와 손거울을 이용해 엄폐한 상태에서 정확히 표적을 사격하는 영상

방탄헬멧

https://namu.wiki/w/%EB%B0%A9%ED%83%84%EB%AA%A8B%A9%A7#s-2.1

 

https://namu.wiki/w/%ED%95%98%EB%85%B8%EB%A7%88%ED%81%AC#s-1

 

내용만큼 중요한 것 이미지.

 

 

같은 서양인을 그렸지만 일본식 애니메이션에는 입과 코가 작게 그려져 동양인처럼 보인다.

서양식 애니메이션은 코도 크고, 입도 크며 좌우로 길어서 서양인으로 보인다.

 

인종별 생김새

중남미

미셸 로드리게스 

 

제니퍼 로페즈

출생, 국적은 미국이지만 히스패닉계

 

샤키라

콜롬비아 출생

 

리키 마틴

푸에르토 리코 출신

 

 제이슨 데룰로

아이티계 흑인

 

 

리한나

바베이도스 출신

 

 소피아 레예스

멕시코 국적의 가수

 

 

카밀라 카베요

쿠바 출신

 

 

 아나 디 아르마스

쿠바

블레이드러너 2049 주인공이 었으면 좋았을 텐데

 

 

 

 

 

 

 

게르만계

나디아 울(독일)

 

오드리 헵번

영국 배우,

벨기에 출생, 영국계아버지, 네덜란드계 어머니

 

 로라 얀센

Laura Jansen

네덜란드 국적

40살이라니 믿을 수가 없다

 

 

 

 고티예Gotye

벨기에 출생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독일계 아버지 + 독일계 어머니

풀네임도 독일스러운

레오나르도 '윌헬름' 디카프리오

 

 

토브 로

스웨덴 출생

 

 안젤리나 졸리

미국 국적

독일계 아버지 + 독일계 어머니

 

 

클라크 게이블

양 부모 모두 독일계

 

 매즈 미켈슨

덴마크

 

 

 

코니 닐센

덴마크

 

 

 

 

 

 

 

 

슬라브계

불가리아 일반인

 

로건 러먼

 

안톤 옐친

러시아 

 

 

 

 

 

 

라틴계

레아 세이두

 

마리옹 꼬띠아르

 

소피 마르소

내 귀에도 노래가 자동재생된다!

 

 멜라니 로랑

 

 록산느 메스키다

 스테이시 마틴

영국+프랑스 혼혈

 소피아 부텔라

프랑스 국적, 알제리 출생

멜라니 티에리

프랑스 국적

 

 


 

 

알바니아계

두이 리파

비비 렉사

 

 

 

  

켈트계(영국 등)

일반인

 

카라 델레바인(델레빈)

 

짙은 눈썹과 살짝 올라간 입꼬리

 

 

 

톰 히들스턴

Tom Hiddleston

 

다니엘 크레이그

Daniel Craig

 

클라이브 오언

콜린 퍼스

매너 메이크 맨

 휴 그랜트

 

 미카

 

 샘 스미스

 

릴리 알렌

다코다 패닝

샘 스미스와 남매라고한다

어디서 약을 팔아!

엘르 패닝

다코다 패닝이랑 자매

 

 찰리XCX

인도계 영국인

(스코틀랜드아버지+인도계 어머니)

 

고든 램지

 제이미 올리버

 

 

 리암 니슨

 

 에밀리 블런트

 전장의 암캐.....

 

 

할리우드 여배우 4명합성

 펠리시티 존스

콜린 파렐

 

 브랜든 글리슨

아일랜드

도널 글리슨의 아버지

도널 글리슨

아일랜드

 

테오 제임스

아일랜드

 

안소니 홉킨스

영국 잉글랜드 출신

 

 

 셰릴 콜

잉글랜드 출신

 

 

베네딕트 컴버비치 호수괴물

영국 출신

 

 엠마 왓슨

영국

 루크 에반스

웨일스

 

 대니얼 레드클리프

영국 국적

 

 헤일리 앳웰

 

 

 

 사이먼 페그

톰 하디

 

 

 

호주/뉴질랜드/북미

특정 인종x 

영연방 국가들로 유럽과 비슷한 백인이면서도

고유의 특색이 있을 것 같음. 조사 필요.

Lorde

레이첼 맥애덤스

Rachel McAdams

인간레몬

커스틴 던스트

독일인 아버지+스웨덴 어머니

기네스 펠트로와 너무 닮음..

귀네스 펠트로

아슈케나짐계 유대인 아버지와

바베이도스계 백인 혈통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

국적 미국 

브리트니 스피어스

윌 아이 엠

 어셔

제이슨 므라즈

므라즈mraz는 체코어로 서리frost?

체코계 미국인 3세(할아버지가 정착)

 브루노 마스

스페인계 부모 / 하와이에서 자람.

국적은 미국.

켄드릭 라마

미국 로스엔젤레스 콤프턴 출신

비욘세

아프리카계 아버지+프랑스,아프리카,미 원주민 혼혈 어머니

저스틴 비버

캐나다 국적

 

칼리 레이 젭슨

캐나다 국적

 잭 블랙

 

아담 랜달 영

Owl city의 보컬

 코난 오브라이언

앞머리가 닭벼슬ㅋㅋㅋㅋ

 

니콜 키드먼

호주/미국 국적

 

샤를리즈 테론

남아공 출신 미국 배우

 

 클로이 모레츠

 제럴드 엘 길럼

G-easy

엠마 스톤

스웨덴 혈통으로 본명은 에밀리라고 함.

 

로렌 코헨

윽노만 리더스

존 번탈

앤드류 링컨

 매튜 매커너히

머피 아빠

 

스칼렛 요한슨

덴마크인 아버지+아슈케나짐계 유대인 어머니

미국 출생

 

 제시카 차스테인

머피(성인)

 

맥켄지 포이

머피(어린모습)

 

마리사 토메이

미국 국적

 

데미 무어

(1990)

 

 어니스트 해밍웨이

상남자 그 자체

 

저스틴 팀버레이크

미국출생 

 

라이언 고슬링

캐나다 국적

 

 

스티브 카렐

미국 국적

 

케빈 베이컨

제니퍼 로렌스

존 굿맨

미국 국적

good!

 

에이미베스 맥널티

아일랜드 출생, 캐나다 국적

Anne

 

 제레미 레너

미국 출생, 독일과 아일랜드계의 가계

조각미남, 큰키는 아니지만 작은 머리, 긴다리의 좋은 비율 

 

길 버밍햄

미국 출생

 

브래드 피트

미국 출생

 

애널리 팁턴

미국 국적

 

셰일린 우들리

미국 국적

 

 제이 코트니

호주 국적

 

 마일스 텔러

미국 국적

 

제시 플레먼스

미국 국적

 

 제이마 메이스

미국국적

글리 / 아메리칸 메이드 출연

 

휴 잭맨

호주 국적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미국 국적

 

 크리스 에반스

미국 국적

 

크리스 햄스워드

호주 국적

 

자레스 레토

미국 국적

 

잭 에프론

윌 스미스

아라비안나이트

 메간 폭스

린제이 로한

 

 짐 캐리

캐나다, 미국 국적

 

 주이 디샤넬

미국 국적

 

 케이티 페리

미국 국적

일부 사진들이 주이 디샤넬과 흡사하다고 함

 

 캣 데닝스

미국 국적

도톰한 입술과 글래머러스한 몸매가 트레이드마크

 

 에이미 아담스

미국 국적

 

카메론 디아즈

미국 국적

매력포인트는 특유의 커다란 입과 광대, 함박웃음

 

 키아누 리브스

캐나다 출신

 

아만다 사이프리드

미국 국적

 

 

 

 

 

 퍼렐 윌리엄스

 

 라나 델 레이

 

 케빈 스페이시

 클라크 그레그

 

 코비 스멀더스

캐나다

 헤일리 베넷

 

제임스 커크

크리스 파인

 

스팍

재커리 퀸토

 

 

 대니 휴스턴

 크리스 프랫

 로빈 라이트

칼 어번

뉴질랜드

 크리스 헴스워스

 브래들리 쿠퍼

 갤 가돗

이스라엘

클로이 베넷

중국계 혼혈

본명은 왕커잉(한국어 왕가영)이라고 함

 

 

 

 

 

 

 

 

 

 

 

-  번외  -

민머리들

로만 피어빈

 

빈 디젤

드웨인 존슨

브루스 윌리스

윈스턴 처칠

제이슨 스타뎀

 

테즈 파커

핏불

구준엽

궁예

마크 스트롱

사무엘 잭슨

 

샤킬 오닐

율리우스 카이사르

 

차두리

푸틴

 

 


 

 

형2(?)

패트릭 스튜어트

https://youtu.be/zaGxtO7PIyk?t=1m34s

 

+ Recent posts